목차
고려 왕 계보 순서, 고려왕조 계보도 가계도
고려 왕 순서
태조(918-943)
- 고려 왕조의 창시자인 왕건은 북진정책과 호족세력과의 혼인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며 나라의 기틀을 다졌습니다.
혜종(943-945)
- 왕건의 장자인 혜종은 외가의 지지가 약해 재위 기간이 짧았습니다.
정종(945-949)
- 왕건의 아들 정종은 왕위를 이어받았으나, 정통성의 부족으로 통치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광종(949-975)
- 광종은 노비 안검법과 과거 제도를 도입해 중앙집권적 국가 체제를 확립하며 왕권을 강화했습니다.
경종(975-981)
- 광종의 맏아들 경종은 전시과 제도를 시행하며 짧은 기간 동안 나라를 다스렸습니다.
성종(981-997)
- 성종은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채택하고 중앙집권적인 국가 운영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고려 중기의 변화와 도전
목종(997-1009)
- 목종은 학문을 장려하고 대리청정을 통해 나라를 이끌었습니다.
현종(1009-1031)
- 현종은 거란의 침략에 맞서며 대장경을 제작하였으며, 이는 고려시대의 중요한 문화유산이 되었습니다.
덕종(1031-1034)
- 덕종은 국자감을 실시하고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하며 학문과 문화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정종(1034-1046)
- 정종은 천리장성을 완성하고 노비종모법을 제정, 국가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문종(1046-1083)
- 문종은 고려시대 중 가장 찬란한 문화황금기를 이끌었으며, 그의 통치는 고려 왕조의 전성기로 기록됩니다.
순종(1083-1083)
- 순종은 문종의 맏아들이었으나, 재위 기간이 매우 짧았습니다.
선종(1083-1094)
- 선종은 송나라의 제도를 도입하여 국가 체계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헌종(1094-1095)
- 헌종은 숙부에게 왕위를 물려주며 짧은 기간 동안 재위했습니다.
숙종(1095-1105)
- 숙종은 주화인 은병을 만들어 통용하며 경제적 안정에 기여했습니다.
예종(1105-1122)
- 예종은 학문 진흥을 위해 양현고 장학재단을 설립하며 교육 발전에 힘썼습니다.
고려 후기의 혼란과 변화
인종(1122-1146)
- 인종은 삼국사기 편찬을 지시하여 한국 역사 기록에 큰 업적을 남겼습니다.
의종(1146-1170)
- 의종은 무신정변으로 인해 폐위되며 고려 후기의 정치적 혼란을 상징합니다.
명종(1170-1197)
- 명종은 무신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며 무신정권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신종(1197-1204)
- 신종은 최충헌의 실권 아래 재위하며 무신정권의 강화를 보여줍니다.
희종(1204-1211)
- 희종은 최충헌을 제거하려다 실패하고 폐위되며 무신정권의 강력한 영향력을 드러냅니다.
강종(1211-1213)
- 강종은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올랐으나, 짧은 기간 동안 재위했습니다.
고종(1213-1259)
- 고종은 몽골의 침입에 맞서 강화도로 천도하며 국난 극복에 애썼습니다.
원종(1259-1274)
- 원종은 친몽정책을 추진했으나 결국 폐위되며 고려의 외세 의존 정책의 실패를 상징합니다.
충렬왕(1274-1298, 1298-1308)
- 충렬왕은 원나라의 사위로서 원나라와의 관계를 관리하며 고려의 안정을 도모했습니다.
충선왕(1298-1298, 1308-1313)
- 충선왕은 한국사 최초의 혼혈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정치적 혼란을 겪었습니다.
충숙왕(1313-1330, 1332-1339)
- 충숙왕은 정권다툼에 시달리며 고려 말기의 불안정한 정치 상황을 경험했습니다.
충혜왕(1330-1332, 1339-1344)
- 충혜왕은 방탕한 행동으로 인해 폐위되며 고려 왕조의 쇠퇴를 상징합니다.
충목왕(1344-1348)
- 충목왕은 어린 나이에 즉위했으나 일찍 사망하며 고려 왕조의 불안정성을 드러냅니다.
충정왕(1349-1351)
- 충정왕은 원나라로부터 왕으로 책봉되었으나 폐위되며 외세 의존의 문제점을 보여줍니다.
공민왕(1351-1374)
- 공민왕은 고려 재건을 위한 개혁을 단행하며 고려 왕조의 마지막 황금기를 이끌었습니다.
우왕(1374-1388)
- 우왕은 어린 나이에 즉위했으나 폐위되었습니다
창왕(1388-1389)
- 우왕의 아들로, 이성계에 의해 폐위되었습니다.
공양왕(1389-1392)
-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신종의 7대손이었습니다.
반응형
'정보,상식 > 생활정보,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셋째 대학등록금 지원 소득분위 다자녀 조건 (0) | 2024.01.11 |
---|---|
대접받는, 대접하는 상한음식, 잔칫집 음식, 똥, 인육, 밥 먹는 꿈 해몽 풀이 (0) | 2023.11.16 |
네스프레소 버츄오 빨간불 연속 깜빡임 고장 해결 방법 (0) | 2023.11.05 |
테무 쇼핑 temu 앱 쇼핑몰 사기? (0) | 2023.10.27 |
공급면적 전용면적 차이 서비스면적, 공용면적, 계약면적이란? 아파트 84㎡ 평수? (0)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