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상식/언어 어원 의미 용어

조선시대 마지막 왕 대한제국 황제 순종, 조선 왕으로 마지막왕 고종, 조선왕조 실록에 기록된 마지막 왕 철종

by 수달김수달BB8 2024. 6. 13.

목차

    조선시대 마지막 왕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과 조선 왕조의 혼란스러운 막

    • 조선시대 마지막 왕 대한제국 황제 순종?
    • 조선 왕으로 마지막왕 고종?
    • 조선왕조 실록에 기록된 마지막 왕 철종?

    순종, 짧지만 격동의 시대를 살다

    순종은 대한제국의 2대 황제이자 조선의 27대 임금입니다. 1907년 아버지 고종의 뒤를 이어 즉위했지만, 그의 재위 기간은 단 3년에 불과했습니다. 1910년 일본에 의해 대한제국이 강점되면서 순종은 황제 자리에서 물러나고, 이후 1926년까지 '이왕'이라는 칭호로 일제 강점기에 살았습니다.

    순종의 짧은 재위 기간은 격동의 시대였습니다. 1907년에는 헤이그 특사 사건으로 인해 아버지 고종이 강제 퇴위당하고, 1910년에는 한일 병합 조약으로 대한제국이 멸망했습니다. 순종은 이러한 역사적 굴절 속에서 별다른 역할을 할 수 없었고, 결국 '제국의 꼭두각시'라는 비극적인 평가를 받게 됩니다.

    철종, 조선 왕조의 마지막 왕

    철종은 조선 왕조의 마지막 임금입니다. 1850년 즉위하여 1863년까지 재위했습니다. 철종의 재위 기간 역시 외세의 침략과 내부의 혼란으로 얼룩져 있었습니다. 1860년에는 프랑스와의 병사, 1866년에는 미국과의 병사가 일어나 조선은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또한, 농민들의 봉기와 민란도 끊이지 않았고, 조정 내부에서는 서양 개화와 보수 사이에서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철종은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 개혁을 시도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1863년, 철종은 천연두로 인해 23세의 나이로 사망하고, 그의 뒤를 이어 아들 고종이 즉위하게 됩니다.

    조선 왕조 실록에 기록된 마지막 왕 철종

    조선 왕조 실록은 조선시대 왕들의 업적과 사건들을 기록한 역사 자료입니다. 조선 왕조 실록에는 총 228권이 편찬되었으며, 그 마지막 권에는 철종의 사후 일을 다루고 있습니다.

    철종의 사후, 흥선대원군이 정권을 장악하고 대원군 통치를 시작했습니다. 대원군 통치는 서양 개화를 강력하게 추진했지만, 이는 민중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1871년 임오군란으로 이어졌습니다. 임오군란으로 인해 대원군 통치는 붕괴되었고, 고종은 친정을 시작하게 됩니다.

    조선 왕조 실록은 이처럼 조선시대 역사의 흐름을 기록하고 있으며, 그 마지막 권에는 격동의 시대를 살다가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철종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이씨 조선의 마지막 왕은 누구인가

    이씨 조선의 마지막 왕은 시각에 따라 다르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 순종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조선의 27대 임금으로, 대한제국의 멸망과 함께 '제국의 꼭두각시'라는 비극적인 평가를 받기도 합니다.
    • 철종은 조선 왕조의 마지막 임금으로, 외세의 침략과 내부의 혼란 속에서 개혁을 시도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23세의 나이로 사망했습니다.

    따라서 '이씨 조선의 마지막 왕'이 누구인가 하는 질문에는 명확한 답이 없습니다. 각 왕의 역사적 역할과 평가는 시대와 관점에 따라 다르게 판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