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월 쭈꾸미낚시 알주꾸미 낚시 금어기 5.11 ~ 8.31
주꾸미 낚시 금어기의 특이한 기간
보통 다른 어종들의 낚시 및 포획 금지 금어기는 해당 어종의 산란기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쭈꾸미 낚시 금어기는 주꾸미 산란기가 끝난 5월 11일부터 8월 31일까지가 금어기로 정해져 있습니다. 쭈꾸미 낚시 금지기간인 금어기를 어길 경우 징역 2년 또는 벌금 2000만 원 이하의 처벌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걸릴 사람이 있다면 그 벌은 상상을 초월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쭈꾸미 어획량이 줄어든 이유는 무엇일까요?
걸릴 사람이 있긴 하겠습니까마는...걸리면 아주... 대박이겠군요.
주꾸미 어획량 감소의 이유
요즘 들어 쭈꾸미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뉴스를 종종 접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어민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감소의 주요 원인은 무엇일까요? 엄밀히 따지면 산란철과 산란 직전의 주꾸미가 소라껍데기 같은데 숨어 들어가는 습성을 이용하여 무분별하게 쭈꾸미를 낚아서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어민들의 불법 행위로 인해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덕분에 4월 3월 주꾸미낚시는 제약없이 마음껏들 하게 되었죠. 하지만 씁쓸합니다. 저야 뭐 원래 봄에 쭈꾸미 낚씨를 안하지만... 알쭈꾸미낚시의 매력에 빠진 분들은 가을에 비해서 잘 잡히지 않는 쭈꾸미낚시로 쭈꾸미 어자원을 싹쓸이하죠.
쭈꾸미 어획량이 몇년전부터 금감해서 어민들이 울상이라고 하는 뉴스가 심심치않게 뜨죠. 그러면서 이 모든 책임을 800만 낚시인들에게 돌리고 있습니다. 800만명이나 되는 낚시인들이 쭈꾸미를 다 낚아서 쭈꾸미 개체수가 줄었다는 논리인 것이죠. 800만명이 전부 쭈꾸미 낚시 다니는 것도 아닌데...무슨 쭈꾸미 낚시로 어자원이 고갈됐다는 헛소리들을 하는지...
엄밀히 따지면 산란철과 산란철 직전에 산란하려는 쭈꾸미가 소라껍데기 같은데 숨어 들어가는 습성을 이용해서 소라껍데기로 무분별하게 쭈꾸미를 남획한 어민들 책임이 제일 크지 않나요?
어민들은 불쌍하니까... 그들은 생계니까 그들의 잘못까지 낚시인들 탓으로 몰겠다는 것이 참 어처구니없지 않나요?
그래서 낚시인들은 알쭈꾸미 금어기를 지정하기 위한 청와대 청원도 했습니다.
어민들의 입장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어민들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 어민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불쌍한 존재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어민들은 노력하지만, 정작 어획량이 줄어든다면 그들의 삶은 어려워질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어민들을 외면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184091
쭈꾸미 금어기를 3월부터 8월까지로 하자는 청원이었습니다.
가을 주꾸미 낚시만 하는 저로써는 뭐 그 정도 금어기 설정하는 거 아주 대찬성입니다.
하려면 어민들도 동참해야 제대로 된 어자원 보호가 되는 것이지 우리나라가 언제부터 약자는 무조건 보호하기만 하는 정책을 펴게 된 것인지..
그리고 과연 어민이 약자일까요? 낚시인들은 언제나 환경오염의 주범이고 어자원 고갈의 빌런들 취급하고....
정책적 대응과 청원
어민들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청와대에 청원을 제출했습니다. 해당 청원은 쭈꾸미 낚시 금어기를 3월부터 8월까지로 변경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적 대응은 쭈꾸미 어획량의 증가뿐만 아니라 어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결론
어쩌면 우리는 언제부터 약자를 보호하는 정책을 추구하는 것일까요? 어민들도 결국에는 우리 사회의 일원이며, 그들의 생계는 우리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책적으로 적절한 대응이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더 이상 어민들을 환경오염의 주범이자 빌런으로 취급해서는 안됩니다. 모든 이들이 함께 노력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약
쭈꾸미 낚시 금어기는 5월 11일부터 8월 31일까지이며, 어민들은 어획량 감소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며, 어민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키워드: 쭈꾸미 낚시, 금어기, 어민, 청원, 어획량 감소, 정책적 대응, 생계, 환경오염, 삶의 질 개선, 약자 보호
'정보,상식 > 축제,여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의 불시착 스위스 촬영지 이젤발트 호수 브리엔트 (0) | 2020.02.06 |
---|---|
전남 무안 무인텔 쉴모텔 (2) | 2019.12.18 |
숭어낚시채비,시기, 요령, 영종도 대매도랑교 낚시 포인트 텐트치고 낚시할만 한 곳 (0) | 2019.10.06 |
여수 고흥 녹동항 갑오징어 낚시 시즌 남해 문어 낚시 채비 방법 문어낚시대 (0) | 2019.09.18 |
강화도 황산초지바다낚시터 포인트 24시간 낚시 입어료 + 방갈로 사용료 19만원 (0) | 2019.08.01 |